백색왜성2 별의 소멸 안녕하세요!!! 짱이 엄마 항공과학편 입니다. 오늘은 별의 소멸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갓 태어난 별은 중심부에서 수소를 원료로 해서 빛을 냅니다.그렇게 열심히 수소를 태우다가 태울 수소가 없어지면 어떻게 되는지, 원래부터 수소를 많이 가지고 태어난 별과 적게 가지고 태어난 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별은 얼마나 오렛동안 빛을 낼 수 있는지, 그동안 질량이나 온도, 크기는 어떻게 변하는지, 우리는 많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별의 진화과정은 질량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태양과 같이 가벼운 별과 그보다 더 10배 정도 무거운 별의 진화 양상은 큰 차이를 가집니다.먼저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가벼운 별부터 살펴보면, 가벼운 별은 처음부터 수소의 양이 그리 많지 않지만 그 수소를 조금씩 태우.. 2018. 10. 1. 블랙홀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짱이 엄마 항공과학편 입니다. 오늘은 블랙홀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볼께요... 블랙홀은 빛 조차도 빨아들이는 괴물 같은 천체입니다.1967년 미국 물리학자 존 휠러가 처음 그 이름을 명명한 이후 각종 영화와 소설 등에 단골로 쓰이면서 더욱 더 유명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블랙홀과 같이 모든 것을 빨아 들이는 천체에 대한 상상은 18세기 부터 시작 되었지만, 이런 천체의 존재 가능성이 이론적으로 증명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정립된 이후 부터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질량을 가지는 물체는 그 주변의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이 휘어짐의 정도가 중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입니다.다시말해 지구가 태양을 도는 이유는 태양이 휘어놓은 시공간 때문인 것입니다.한편 질량이 무.. 2018. 9.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