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항공과학

안드로메다 은하

네스트빅 2018. 9. 17. 21:30

안녕하세요!!! 짱이 엄마 항공과학편 입니다.

오늘은 안드로메다 은하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지구로부터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안드로메다 은하 는 대기오염이 작은 시골지역에서 날씨가 맑으면 쉽게 찾을 수 있는 북쪽 하늘의 대표적인 은하입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안드로메다가 '은하' 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불과 2세기 전까지만 해도 은하가 아닌 은하에 속한 성운이었습니다.


18세기 메시에 목록과 19세기 NGC 항성 목록에도 성운으로 분류돼 대성운으로 불려 왔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초 우리 은하와 맞먹는 크기의 은하라는 주장이 제기 되었습니다.



이런 천문학자들의 논쟁은 1920년 정점을 찍게 되는데, 이것은 천문학에서도 '섀플리-커티스의 대논쟁' 으로 불려지는 사건입니다.

당시의 천문학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우리 은하와 우주의 크기' 였습니다.

섀플리의 경우 안드로메다는 크기와 신성 관측으로 보면 나선성운으로 우리 은하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우주의 크기는 우리 은하 크기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이에 대해 커티스는 발견되는 신성의 갯수가 우리 은하에서 발견되는 신성의 갯수보다 더 많다는 점으로부터 우리 은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은하이며 우주의 크기는 우리 은하보다 훨씬 크다고 주장 하였습니다.

두사람의 격렬한 논쟁은 1923년 애드윈 허블 세페이드 변광성을 관측함으로써 그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허블의 관측 결과로부터 구한 당시 안드로메다 까지의 거리는 90만 광년으로써, 당시에 알려진 우리 은하의 지름인 10광년(실제 우리 은하의 크기는 10만 광년) 보다 훨씬 큰 값이었습니다.

안드로메다가 성운이라는 오해를 벗고 외부 은하로서 지위를 찾은 20세기 초 비로소 외부 은하 천문학의 시대가 열린 것입니다.

한편 중세시대 많은 사람들은 지구가 속한 태양계가 우주와 우리 은하의 중심이라 믿었지만, 아쉽게도 태양은 우리 은하의 변두리에 위치한 지극히도 평범한 별인 것입니다.



우리 은하는 두께가 1만 5000광년, 지름 10만 광년의 납작한 원반 모양의 막대나선은하로 나선팔이 6개 정도로 구성 되어져 있습니다.

태양은 그 중 오리온자리 팔에 위치하고 은하핵 중심으로부터 2만 7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시속 79만km 의 속도로 은하 중심을 궤도 운동하고 있습니다.

은하수는 우리 은하 원반의 별들이 밀집되어 보이는 모습입니다.


한여름 밤 은하수가 더 크고 짙게 보이는 이유는 태양 주변을 공전하는 지구가 은하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반면에 겨울에는 궁수자리 반대 방향을 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별이 작게 보입니다.

만약 태양계가 우리 은하의 중심에 좀 더 가까웠다면 밤하늘은 어떻게 보일까요...

우리 은하 중심부에는 태양보다 더 늙고 더 큰 적색거성, 초거성이 많이 있으며 별들이 훨씬 빽빽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여러개의 태양이 뜨고 지는 모습을 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운이 좋다면, 별이 태어나고 죽는 장면을 좀 더 가까이에서 살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반면 태양계가 우리 은하의 더 외곽에 위치한다면 지금과 같이 크고 아름다운 은하수가 훨씬 더 작고 얇게 보일 것입니다.



또한 외곽에는 별의 갯수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밤하늘은 지금보다 더 어두울 것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은하수의 중심부는 상당히 까맣게 보입니다.

이 까맣게 보이는 부분은 은하에 있는 성간 구름입니다.   이 성간 구름을 구성하는 성간 물질은 그 입자가 매우 작아서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잡아 먹게 됩니다.

사실 이 성간 구름 뒤편에도 무수한 별들이 존재하지만, 그 빛이 우리 눈에는 들어오지 않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성간 물질의 존재가 우리 은하가 젊다는 것입니다.

성간 물질은 중성수소를 비롯한 성간 가스와 성간 먼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물질은 새로운 별을 만들수 있는 재료가 됩니다.

지금도 우리 은하의 성간 구름에서는 새로운 별들이 만들어 지고 있으며, 이 별들은 나선팔을 따라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 놓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은하수의 까만 부분을 가리키며 저것이 무엇인지 물어 본다면 우리 은하가 젊다는 증거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항공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성의 발견  (0) 2018.09.18
블랙홀 알아보기  (0) 2018.09.18
나로호 개발의 시작과 의미  (0) 2018.09.17
화성탐사의 역사  (0) 2018.09.16
무인기 연구개발 성과  (0) 2018.09.1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