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짱이 엄마 건강 정보편 입니다.

오늘은 어깨 통증에 관해서 포스팅 해 볼께요...

우리가 평상시에 어깨가 아프면 통증 때문에 많은 행동제약이 생깁니다.





옷을 갈아 입거나 씻을 때, 운동을 하거나 물건을 옮길 때 등 많은 불편을 겪게 되죠...

또한 통증이 밤에 심해지는 경우가 많아서 숙면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이전에 '내 몸 사용 설명서' 라는 프로그램에서 이런 어깨통증을 8초만에 잡는법이라고 방영 된 적이 있습니다.

이 내용을 함께 공유 해 볼께요...





지금 통증으로 고생하신다면 한번 따라해 보세요...





위 내용처럼 양쪽 쇄골의 중간 지점을 천돌혈이라고 하는데요...





천돌혈을 중심으로 쇄골의 끝부분과 쇄골 윗부분, 쇄골 아랫부분을 8초 동안 지긋이 불러 주면 놀랍게도 통증이 많이 완화 된다고 합니다.

만약 오른쪽 어깨가 아프면 오른쪽 쇄골,  왼쪽 어깨가 아프면 왼쪽 쇄골을 눌러 주시면 됩니다.




 


또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쇄골을 3등분하여  각각의 지점을 눌러주면 손목,  팔꿈치,  어깨 부위의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신기하네요...ㅎ

크게 힘들이지 않고 눌러주는 지압으로 쉽게 따라 해 볼수 있으니깐 언제 어디서나 시도해 봄직 하네요...





어깨 통증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오십견' 이 대표적으로 떠오릅니다.


오십견은 어깨의 통증과 어깨관절의 운동 범위가 감소하는 질병인데요...

특히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 졌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젊은 세대에서도 잘 발병하는 어깨 대표 질환입니다.






오십견은 어깨관절을 감싸는 관절낭에 염증이 생겨 서로 엉겨 붙으면서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때 어깨가 굳어지고 통증 또한 동반 됩니다.

관절의 가동범위가 줄어들어 팔을 잘 들어 올리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고, 따라서 양팔을 위로 올리거나 팔을 등 뒤로 하는 것이 잘 안 된다면 어깨가 굳었다는 증거이며 오십견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관리를 통해 오십견을 예방하려면 평소에 관절에 무리한 힘을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건을 들 때에도 팔을 어깨에 가까이 붙여서 어깨에 무게가 쏠리지 않게 해야 합니다.

또 옆으로 누우면 관절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반듯하게 누워 자는 게 좋습니다.





이미 오십견이 진행됐다면 어깨 관절의 가동범위를 적게 하면서 경직된 관절을 풀어 주는게 좋습니다.

적은 가동 범위로 느리게 움직이면 관절 주변의 긴장됐던 근육이 이완됩니다.

오십견 환자가 관절을 효과적으로 풀기에 좋은 운동법 몇가지를 알려 드릴께요...


1.  시계추 운동

허리를 약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통증이 없는 쪽 팔을 책상이나 의자에 두고 몸을 지지 합니다.

통증이 있는 팔은 좌우로 시계추 처럼 흔듭니다.

그리고 난 후,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약 15회씩 돌립니다.






2.  진자 운동

아기를 안은 자세처럼 한쪽 팔로 다른 쪽 팔의 팔꿈치를 감싸고 다른 쪽 팔은 가볍게 걸쳐 둡니다.

두 팔을 진자가 움직이듯이 좌우로 움직입니다.   통증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운동하여야 하며,  움직임 범위를 천천히 늘려주면 됩니다.

약 20회씩 실행한 뒤, 반대쪽도 똑같이 실행합니다.


3.  어깨 집어넣기

두 팔을 직각으로 만들어 왼팔로 오른팔의 팔꿈치를 가볍게 감싸고 오른팔은 가볍게 왼팔에 걸쳐 둡니다.

오른쪽 어깨가 오른쪽 귀와 만난다는 느낌으로 으쓱합니다.

이때 머리도 살짝 오른쪽으로 기울여 줍니다.

한번에 10~15초 유리한 후 처음 자세로 돌아갑니다.

왼쪽 어깨도 똑같이 진행 합니다.






평상시에도 통증을 유발하는 좋지 않은 자세들이 많이 있습니다.

손으로 턱을 괴거나,   팔걸이에 한쪽 팔을 기대고 앉고,  옆으로 잠을 자거나 운전시 핸들 윗부분을 두 손으로 잡는 자세 등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다시 강조해 드리지만 항상 올바른 자세를 습관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며, 장시간 근무시나 운동전에는 반드시 충분한 스트레칭이 필수입니다.

이점 유의하시고 항상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간략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