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항공과학

아리랑위성 알아보기

네스트빅 2018. 9. 8. 20:56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광학, 영상레이더 위성, 적외선 관측력을 가진 낮은 궤도의 지구관측 위성인 아리랑위성 을 개발하여 운용중에 있습니다.

아리랑위성 1호인 경우는 개발하였을 당시에 국내 실용급 위성제작 기술이 일천하여 미국과 공동으로 개발을 추진하였습니다.  2호는 1호의 기술개발 경험과 능력을 기반으로 국내의 기술진이 주도하여 개발하였습니다.



2호의 개발을 완성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위성체를 설계하는 기술자립도가 91.5%, 위성체 부품제작 기술자립도는 65.2% 에 달해, 세계에서 7번째로 1m급 고해상도의 능력을 가진 위성 보유국으로서 위치를 확보하였습니다.

본격적인 위성개발을 시작한지 불과 10여년 만에 이룬 큰 성과였습니다.



아리랑위성 1,2 호를 제작하므로써 확보된 위성기술 자립기반으로 해상도 70cm급 광학관측력을 지닌 3호, 영상레이더를 탑재시킨 5호, 해상도 55cm급 광학 및 적외선 관측력의 3A호를 개발하는 큰 업적을 이루어 냈습니다. 

3호와 5호, 3A호의 경우 일부 탑재체의 부품을 제외하고는 설계부터 조립에 이어 시험까지도 전부 국내의 기술로 진행되었습니다.   3호는 국내의 우수 민간기업에 본체의 개발을 제작의뢰하는 등 국내의 위성산업 저변을 넓히기 위한 개발기술의 이전도 함께 추진하였습니다.



현재는 3호, 5호, 3A호가 각각의 상호적인 보완운용 형태로 위성정보 활용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위성정보의 민간활용과 위성산업의 발전을 위한 핵심적인 기술개발 등에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개발중인 위성으로는 영상레이더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6호와 초정밀광학 및 적외선 센서를 탑재한 7호가 있습니다.


아리항위성 의 특징으로는

7호의 경우 3A호의 후속으로 고해상도 관측영상의 안정적인 임무승계를 목적으로 2021년 발사를 목표로 해서 개발중에 있습니다.  국내의 위성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본체 및 탑재체의 전 분야를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본체의 경우 기업에서 주관하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7호는 향우연의 기술로 세계최고의 0.3m 이하의 광학해상도를 지닌 전자광학카메라 AEISS-HR를 탑재하게 될 예정입니다.  2020년 발사예정인 6호의 경우는 5호의 후속으로써, 고해상도의 레이더영상의 국가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미래의 영상레이더 기술을 자립화 시킬 목적으로 본체 및 시스템의 국내 독자적 개발, 영상레이더 탑재체의 국내 주도적 개발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레이더 간섭계 기술을 사용하여 고정밀 수치표고모델 생성목적의 지상반복궤적 유지를 위해 정밀궤도조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 국내독자개발된 1N급 단일추진체 추력기가 사용될 예정이며 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5호에 탑재되어져 있는 영상레이더는 마이크로파를 지상의 목표물에 방사한 후 돌아온 신호를 서로 합성하여 영상을 만드는 장치이며 주야간 및 악천후 속에서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5호는 하루에 통상 4번 한반도 관측이 가능하며, 전송되어진 영상정보로 공공의 안전, 재난재해 예측, 국토자원의 관리, 환경감시 등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이상 아리랑 위성 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진심으로 바라고 다음번에도 재밌는 자료로 찾아뵐께요~~~

좋은하루 되세요^^ 

'항공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위성의 활용  (0) 2018.09.11
인공위성의 센서 알아보기  (0) 2018.09.10
로켓 제작자들  (0) 2018.09.10
액체연료엔진 공부하기  (0) 2018.09.09
한국형발사체 알아보기  (0) 2018.09.09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